맨위로가기

젊은 예술가의 초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젊은 예술가의 초상제임스 조이스의 자전적 소설로, 1916년에 출판되었다. 이 소설은 주인공 스티븐 디달러스의 어린 시절부터 청년기에 이르기까지의 성장 과정을 묘사하며, 종교적 갈등, 예술가로서의 정체성 탐구, 아일랜드 민족주의, 그리고 다이달로스 신화와 같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소설은 3인칭 서술과 자유 간접 화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스티븐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표현한다. 출간 당시부터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현대 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1977년 영화로 제작되었고, 여러 차례 연극으로 각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소설 - 참마죽
    참마죽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 소설로, 하급 관리인 오위가 마죽에 대한 욕망을 가지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욕망의 허무함, 권력과 욕망, 소외된 인간이라는 주제를 탐구하며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 피네간의 경야
    《피네간의 경야》는 제임스 조이스가 17년간 집필한 실험적인 장편소설로, 난해한 문체, 다층적인 의미, 꿈, 기억, 역사, 언어 등 복합적인 주제, HCE와 ALP 중심의 순환 구조, 다양한 언어와 말장난을 활용한 독특한 문체가 특징이며, 출판 당시 혹평을 받았지만 현대 문학의 중요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 율리시스 (소설)
    제임스 조이스가 1922년에 발표한 소설 《율리시스》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1904년 6월 16일 더블린 시민 레오폴드 블룸의 하루 동안의 여정을 독창적인 문체와 실험적인 기법으로 그린 작품으로, 출판 당시 외설 논란과 검열을 겪었으나 20세기 최고의 소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더블린을 배경으로 한 소설 - 피네간의 경야
    《피네간의 경야》는 제임스 조이스가 17년간 집필한 실험적인 장편소설로, 난해한 문체, 다층적인 의미, 꿈, 기억, 역사, 언어 등 복합적인 주제, HCE와 ALP 중심의 순환 구조, 다양한 언어와 말장난을 활용한 독특한 문체가 특징이며, 출판 당시 혹평을 받았지만 현대 문학의 중요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 더블린을 배경으로 한 소설 - 율리시스 (소설)
    제임스 조이스가 1922년에 발표한 소설 《율리시스》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1904년 6월 16일 더블린 시민 레오폴드 블룸의 하루 동안의 여정을 독창적인 문체와 실험적인 기법으로 그린 작품으로, 출판 당시 외설 논란과 검열을 겪었으나 20세기 최고의 소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젊은 예술가의 초상 - [서적]에 관한 문서
작품 정보
제목젊은 예술가의 초상
원제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저자제임스 조이스
언어영어
배경더블린 및 클롱고우즈 우드 칼리지, 1890년대 경
장르예술가 소설, 모더니즘
페이지 수299
매체 유형인쇄: 하드커버
듀이십진분류법823.912
의회도서관분류법PR6019 .O9
출판일1916년 12월 29일
출판사B. W. 휴브시
이전 작품스티븐 히어로
다음 작품율리시스
책 표지. 전체적으로 파란색이며,
1916년 B. W. 휴브시에서 출판된 초판의 앞표지

2. 집필 배경

안경을 쓴 콧수염이 난 남성의 챙이 있는 모자를 쓴 흑백 사진 초상화.
1915년 제임스 조이스


제임스 조이스는 1904년 초 소설 ''스티븐 히어로''를 쓰기 시작했다.[1] 같은 해 6월, 노라 바르나클을 만나 사랑에 빠졌고, 이후 유럽 대륙으로 이주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당시) 트리에스테에 정착했다.[1] 조이스는 소설을 집필하며 초기 에세이와 단편 일부에 "스티븐 다에달루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 그의 단편들은 ''더블리너스''(1914)로 출판되었으나, 논란이 되는 내용으로 인해 출판까지 약 8년이 걸렸다.[1]

조이스는 ''더블리너스'' 출판을 기다리며 1904년 시작해 1907년 중단했던 ''스티븐 히어로''의 핵심 주제를 다듬어 ''젊은 예술가의 초상''을 완성, 1916년에 출판했다.[1]

1904년 1월 7일, 조이스는 아일랜드 문학 잡지 ''다나''에 "예술가의 초상"을 제출했으나 편집장 W. K. 메이지는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같은 해 2월 2일, 조이스는 ''스티븐 히어로''를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 제시된 미학적 철학이 담겨 있었다. 1907년 9월, ''스티븐 히어로'' 집필을 포기하고 텍스트와 구조를 완전히 수정하여 ''젊은 예술가의 초상''을 만들었다. 1909년 작품이 형태를 갖추자 조이스는 언어 학생 에토레 슈미츠에게 초고를 보여주었고, 작가였던 슈미츠의 격려로 집필을 계속했다.

1911년, 출판사들이 ''더블리너스'' 인쇄를 거부하자 조이스는 분노하여 ''젊은 예술가의 초상'' 원고를 불태웠으나 가족들이 구출했다. 조이스는 이전의 "예술가의 초상", ''스티븐 히어로'',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노트를 재활용하여 ''젊은 예술가의 초상''을 완성했다.

''스티븐 히어로''는 전지적 작가 시점이었지만,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서 조이스는 자유 간접화법을 채택했다.

3. 등장인물


  • '''스티븐 디달러스(Stephen Dedalus)''' : 『젊은 예술가의 초상』의 주인공이다. 성장 과정에서 쾌락주의와 깊은 종교심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결국 미학주의 철학을 받아들여 아름다움과 예술을 중시하게 된다. 스티븐은 작가 제임스 조이스 자신의 젊은 시절을 반영하며, 그의 성은 자율성을 위해 투쟁했던 고대 그리스 신화 인물 다이달로스(Daedalus)에서 따왔다.[9]
  • '''사이먼 디달러스(Simon Dedalus)''' : 스티븐의 아버지로, 가난한 전직 의대생이다. 강한 아일랜드 민족주의 성향을 지니고 있으며, 과거를 그리워하는 인물이다.[9] 조이스 자신의 아버지와 그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묘사되었다.
  • '''메리 디달러스(Mary Dedalus)''' : 스티븐의 어머니로, 매우 독실한 가톨릭 신자이다. 신앙 문제로 스티븐과 갈등을 겪는다.[9]
  • '''에마 클레리(Emma Clery)''' : 스티븐이 사랑하는 여성이다. 스티븐은 그녀를 이상적인 여성으로 여기지만, 현실적인 관계를 맺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다.[9]
  • '''찰스 스튜어트 파넬(Charles Stewart Parnell)''' : 소설 속에 직접 등장하지는 않지만, 그의 죽음이 많은 등장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아일랜드의 정치 지도자였다. 파넬은 기혼 여성과의 불륜이 폭로된 후 공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아일랜드 의회당을 이끌었다.
  • '''크랜리(Cranly)''' : 스티븐의 대학 시절 가장 친한 친구로, 스티븐은 그에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털어놓는다. 크랜리는 스티븐에게 가족의 뜻에 따르고 또래들과 어울리라고 조언하지만, 스티븐은 이에 반발한다. 결국 둘은 서로 다른 길을 가게 된다.[9]
  • '''단테(리어던 부인)(Dante (Mrs. Riordan))''' : 디달러스 가의 가정교사로, 매우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가톨릭 신자이다.[9]
  • '''린치(Lynch)''' : 스티븐의 대학 친구로, 다소 무뚝뚝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9]

4. 줄거리

소설은 주인공 스티븐 디달러스의 어린 시절부터 청년기까지의 성장 과정을 따라간다. 스티븐의 의식 변화에 따라 문체도 변화하며, 그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한다.

스티븐은 예수회 학교인 클롱고우스 우드 칼리지에 다니며, 급우들의 괴롭힘 속에서 학교생활의 규칙을 배운다. 크리스마스 만찬 자리에서는 찰스 스튜어트 파넬을 둘러싼 아일랜드 사회의 갈등을 목격하고, 사회 제도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된다.[1] 클롱고우스에서 스티븐은 체벌을 받지만, 교장 콘미 신부에게 항의하여 승리감을 맛본다.[1]

아버지의 빚 때문에 가족은 더블린으로 이사하고, 스티븐은 클롱고우스로 돌아가지 못한다. 하지만 장학금을 받아 벨베데레 칼리지에 진학하여 학업적 성취를 이룬다. 그러나 상금을 탕진하고 매춘부를 찾아다니는 등 방황하며 아버지와의 관계도 소원해진다.[1]

해변 사진.
스티븐 디덜러스는 돌리마운트 해변에서 미적 각성을 경험합니다.


스티븐은 수련회에서 죄책감과 사후 세계(죽음, 심판, 지옥, 천국)에 대한 설교를 듣고 깊은 회개를 한다. 그러나 곧 세속적인 생각에 빠져들고, 사제직을 권유받지만 갈등 끝에 거부한다. 돌리마운트 해변에서 아름다운 소녀를 보고 예술적 영감을 받아 예술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한다.[1]

더블린대학교에서 스티븐은 교회, 학교, 정치, 가족 등 주변 환경에 환멸을 느낀다. 아버지의 질책과 어머니의 종교 강요 속에서, 친구들에게 자신의 미학 이론을 설명하지만 공감받지 못한다. 결국 스티븐은 아일랜드가 예술가로서 자신을 표현하기에 너무 제한적이라고 판단하고, 조국을 떠나기로 결심한다.[1]

5. 문체 및 기법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영어는 성장 소설로, 주인공의 성격 발달과 주변 세계에 대한 이해를 포착한다. 이 소설은 3인칭 서술과 자유 간접화법을 혼합하여 스티븐에 대한 동일시와 거리감을 동시에 허용한다. 서술자는 판단을 삼가한다. 초기 작품인 『스티븐 히어로』의 전지적 작가 시점은 스티븐이 "몇몇 서러운 시구절"을 쓰려고 하는 것을 독자에게 알려주는 반면,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영어는 스티븐의 시도만을 보여주고 평가는 독자에게 맡긴다.[4][5][6]

이 소설은 마지막 장까지 최소한의 대화만 포함하여 주로 3인칭 서술로 쓰여졌다. 마지막 장에는 스티븐, 데이빈, 그리고 크랜리와 번갈아 가며 대화가 많은 장면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장면의 예로는 스티븐이 자신의 복잡한 토마스 아퀴나스 미학 이론을 장황한 대화에서 제시하는 장면이 있다. 샌더스에 따르면, "...그것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성찬 신학이 스티븐이 설명하는 복잡한 미학을 가장 결정짓는다. 그의 신앙은 꼼꼼한 의심으로 대체되었지만, 스티븐은 아름다움의 정의에 대한 그의 주장에서 고집스러운 예수회 권위주의를 유지한다."[10] 조이스는 소설의 마지막 페이지에서 스티븐의 일기장 내용에 1인칭 서술을 사용하여, 스티븐이 마침내 자신의 목소리를 찾았고 더 이상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흡수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11]

조이스는 자유 간접 화법을 완벽하게 활용하여 스티븐의 지적 발달을 어린 시절부터 교육을 통해, 점점 더 독립적이 되고 젊은 시절 아일랜드에서 궁극적으로 추방되는 과정까지 보여준다. 작품의 스타일은 다섯 개의 장을 거치면서 진행되며, 언어의 복잡성과 스티븐이 주변 세계를 이해하는 능력이 모두 점진적으로 증가한다.[12] 책의 첫 페이지는 스티븐이 어린 시절 처음으로 의식을 갖게 된 것을 전달한다. 작품 전체에서 언어는 주인공의 심리 상태와 그의 삶의 사건들의 주관적인 영향을 간접적으로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13]

조이스는 프랑스어, 스페인어 또는 러시아어 간행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대화를 시작하는 단락에 대시를 사용하여 대화를 나타낸다. 인용 부호를 생략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영어』의 처음 두 페이지는 소설의 많은 주요 모티프를 소개하며,[14] "전체 행동을 축소판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5]

조이스는 『스티븐 히어로』에서 "영감"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토마스 아퀴나스의 아름다움의 세 가지 기준인 전체성, 조화, 광채에 대한 논의의 서문을 썼다. 사물이 "우리에게 광채가 나는 것처럼 보일 때, 그것은 영감을 얻는다."[16] 스티븐 데덜러스가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영어』에서 자신의 미학 이론을 설명할 때 이 용어는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이스 비평가들은 『율리시스』와 『피네간의 경야』를 논의할 때 자유롭게 사용해 왔다.[17][18][19] 한 비평가는 조이스의 소설에서 네 가지의 다른 영감 기법을 확인했으며,[20]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영어』에 대해 "적어도 세 가지 경우에 영감이 스티븐이 자신의 삶의 미래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21]

스티븐 데덜러스의 미학 이론은 서정시, 서사시, 희곡의 세 가지 형태의 문학 예술을 확인한다.[22] 캐나다 학자 휴 케너는 세 가지 형태의 문학 예술을 그의 소설에 적용되는 진행으로 보았는데,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영어』은 서정시, 『율리시스』는 서사시, 『피네간의 경야』는 희곡으로 보았다.[23] 윌리엄 요크 틴달은 다른 비평가들이 세 가지 형태를 다르게 적용했음을 언급했는데, 어떤 이들은 조이스의 모든 작품을 희곡으로, 어떤 이들은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영어』에 세 가지 형태를 모두, 다른 이들은 『율리시스』에 "아마도 본문에서 더 많은 정당성을 가지고" 찾았다.[24] 틴달은 그것들이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영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추측했는데, 스티븐은 "자신에 대한 태도에서 서정적"이며, 조이스는 스티븐에 대한 태도에서 극적이어서 때때로 "그는 서정적인 영웅에 대한 극적인 책의 저자"이며, 다른 때에는 그는 반어적이어서 "서사적처럼 보인다... 청중과 희생자 사이에 서 있다"고 했다.[24]

6. 주제



("그리고 그는 자신의 마음을 알려지지 않은 예술로 돌렸다.")

이는 주인공 스티븐이 예술가의 길을 걷게 될 것임을 암시한다. 스티븐의 성(姓)인 '디달러스'는 그리스 신화의 다이달로스에서 따온 것으로, 스티븐이 다이달로스처럼 현실의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날아오르고자 하는 열망을 상징한다.[1]

소설 속 스티븐의 정체성 탐구는 20세기 초 아일랜드의 독립 투쟁과 맞물려 있다. 그는 극단적인 민족주의를 거부하고, 히베르노-잉글리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편견을 보이기도 한다.[33] 그러나 그는 자신의 조국에 대한 깊은 유대감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정체성이 민족주의와 얽혀 있음을 인식한다.[29]

리처드 엘먼은 조이스가 "배교적인 가톨릭 예술가를 영웅으로 그린 그의 주제를 인식했다"고 평가했다. 비평가들은 스티븐 디달러스의 미학 이론에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의 영향이 있음을 지적한다.[34][35][36] 가톨릭 신학은 하느님의 영원한 활동(말씀의 탄생)과 시간 속에서의 활동(창조, 성육신, 성체 거행)을 구분한다. 스티븐은 아퀴나스가 하느님의 아들에게 적용한 세 가지 미의 기준을 사용하여 예술가의 이해 행위("에피파니")를 모델링하고, 창조를 사용하여 예술가의 (재)구체화 행위를 모델링한다. 나아가 그는 몽상 속에서 예술가를 성육신의 하느님과, 사제의 인격을 통한 성체 거행의 하느님에 비유하며 미학 이론을 완성한다.[37]

7. 비평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젊은 예술가의 초상영어은 출간 당시부터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현대 문학의 걸작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에즈라 파운드는 조이스의 글쓰기 방식과 사실주의적 묘사를 높이 평가하며, 이 작품이 영국 문학의 영구적인 부분으로 남을 것이라고 예측했다.[40] H. G. 웰스는 조이스의 솔직한 묘사에 대해 언급하며, 독자들에게 빅토리아 시대 도덕이 인쇄물에서 배제했던 신체 기능 묘사에 대한 그의 고집, 즉 "하수도적 집착"에 대해 주의를 당부하기도 했다.[4]

휴 케너는 스티븐 디달러스를 비판하며, 그가 진정한 예술가가 되지 못하고 "미학자"에 머무른다고 주장했다.[45] 윌리엄 요크 틴달은 스티븐이 자기 인식이 부족하다고 비판하며,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젊은 예술가의 초상영어율리시스의 예비 스케치로 간주했다.[47] S. L. 골드버그는 조이스의 풍자가 스티븐에 대한 완전한 거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48]

8. 한국어 번역


  • 다자와 마사요시 역, 若い芸術家の肖像|젊은 예술가의 초상일본어 (이와나미 문고, 2007년)
  • 마루야 사이치 역, 若い芸術家の肖像|젊은 예술가의 초상일본어 (신초문고, 1994년)
  • 마루야 사이치 역·해설, ジェイムズ・ジョイス「若い芸術家の肖像」|제임스 조이스 「젊은 예술가의 초상」일본어 (슈에이샤, 2009년 / 슈에이샤 문고, 2014년). 2010년 요미우리 문학상 (연구·번역 부문) 수상.
  • 나가카와 레이지 역, 新集 世界の文学30 ジョイス|신집 세계의 문학 30 조이스일본어 (추오코론샤, 1972년)
  • 나카하시 카즈오 역, 若い芸術家の肖像|젊은 시절의 예술가의 초상일본어 (구텐베르크 21, 전자책, 2018년, 1956년 초역)

9. 각색

1977년, 조셉 스트릭이 감독하고 주디스 라스코가 각색한 영화가 개봉되었다. 스티븐 디달러스 역은 보스코 호건이, 사이먼 디달러스 역은 T.P. 맥케나가 맡았다. 존 길구드는 십대 스티븐을 공포에 떨게 한 지옥에 대한 설교를 하는 아널 신부 역을 맡았다.[49]

2012년에는 펜타미터 극장에서 레오니 스콧-매튜스가 톰 네일의 각색을 사용하여 무대 버전을 제작했다.[49]

휴 레너드의 희곡 『스티븐 D』는 『젊은 예술가의 초상』과 『스티븐 영웅』을 각색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1962년 더블린 극장 축제 기간 동안 게이트 극장에서 처음 공연되었다.[50]

참조

[1] 서적 James Joyce: A New Biography Farrar, Straus and Giroux
[2] 서적 "A Portrait of the Artist" 1904 https://archive.org/[...] 2024-03-04
[3] 서적
[4] 서적 Introduction.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16
[5] 서적 Introduction.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3-16
[6] 학술지 Joyce's Epiphanies https://www.jstor.or[...] 2024-03-14
[7] 학술지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in the Public Domain 2004-06
[8] 웹사이트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Character List https://www.sparknot[...] 2021-11-04
[9] 서적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B. W. Huebsch
[10] 서적 The Short Oxford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994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http://www.saylor.or[...] 2012-05-08
[14] 서적 A Reader's Guide to James Joyc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2024-03-14
[15] 학술지 The 'Portrait' i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24-03-14
[16] 서적 Stephen Hero https://archive.org/[...] Jonathan Cape 2024-03-11
[17] 학술지 The 'Portrait' i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24-03-14
[18] 서적 A Reader's Guide to James Joyc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2024-03-14
[19] 서적 The Classical Temper: A Study of James Joyce's "Ulysses" https://archive.org/[...] Chatto and Windus 2024-03-14
[20] 학술지 Joyce's Epiphanies https://www.jstor.or[...] 2024-03-14
[21] 학술지 Joyce's Epiphanies https://www.jstor.or[...] 2024-03-14
[22] 서적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https://archive.org/[...] B. W. Huebsch 2024-03-16
[23] 학술지 The "Portrait" i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24-03-12
[24] 서적 A Reader's Guide to James Joyc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2024-03-14
[25] 간행물 Hiberno-English and Identity in Joyce’s A Portrait
[26] 학술지 The 'Portrait' i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24-03-14
[27] 간행물 Crisis of Identity in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28] 학술지 The 'Portrait' i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24-03-14
[29] 간행물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James Joyce, the Myth of Icarus, and the Influence of Christopher Marlowe."
[30] 학술지 Religion and Identity in Joyce's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31] 학술지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James Joyce, the Myth of Icarus, and the Influence of Christopher Marlowe. Estudios Irlandeses
[32] 간행물 Hiberno-English and Identity in Joyce's ''A Portrait''
[33] 학술지 Hiberno-English and identity in Joyce's A Portrait 2013-02
[34] 서적 A Reader's Guide to James Joyce https://archive.org/[...] 2024-03-04
[35] 서적 Dublin's Joyce https://archive.org/[...] 2024-03-04
[36] 서적 Thomist Joyce. Joyce, Aristotle, and Aquina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24-03-06
[37] 서적 Ulysses and the Irish God https://archive.org/[...] Bucknell University Press,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2024-03-06
[38] 서적 Letters of James Joyce Volume II https://archive.org/[...] Faber and Faber 2024-03-02
[39] 서적 Ulysses https://archive.org/[...]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24-03-02
[40] 서적 At Last the Novel Appears. Pound/Joyce; the letters of Ezra Pound to James Joyce, with Pound's essays on Joyce https://archive.org/[...] New Directions 2024-03-01
[41] 서적 Joyce. Literary Essays of Ezra Pound https://archive.org/[...] Faber and Faber 2024-03-01
[42] 서적 Aspects of the Novel https://ia803201.us.[...] Harcourt 2024-03-02
[43] 서적 Time and Western Man https://archive.org/[...] Chatto and Windus 2024-03-02
[44] 서적 Joyce's Voic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03-02
[45] 학술지 The 'Portrait' in Perspective https://www.jstor.or[...] 2024-03-14
[46] 서적 Dublin's Joyce https://archive.org/[...] Chatto & Windus 2024-03-13
[47] 서적 A Reader's Guide to James Joyce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2024-03-13
[48] 서적 The Classical Temper: A Study of James Joyce's "Ulysses" https://archive.org/[...] Chatto and Windus 2024-03-13
[49] 뉴스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 Pentameters https://www.londonth[...] 2016-12-24
[50] 간행물 Irish Playography, Stephen D by Hugh Leonard http://www.irishplay[...] 2013-07-07
[51] 웹사이트 A Digital Portrayal of James Joyce's 'Portrait' http://cacm.acm.org/[...] 2017-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